728x90
반응형
목차
<나노 편집기 사용 가이드>
1. 설치
나노(Nano)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널리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이다. Pico 편집기를 모방하여 만들어졌으며, 명령어 기반의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.
나노는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.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.
리눅스에서 사용
- Debian/Ubuntu: sudo apt-get install nano
- CentOS/RHEL: sudo yum install nano
- Arch Linux: sudo pacman -S nano
윈도우에서 사용
- Windows Subsystem for Linux (WSL) 설치:
- 윈도우 검색창에 "Windows 기능 켜기/끄기"를 입력하고 선택한다.
- "Windows Subsystem for Linux"를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.
- 컴퓨터를 재부팅한다.
- Microsoft Store에서 Ubuntu를 설치한다.
- 설치가 완료되면, Ubuntu를 실행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한다.
- 터미널에 sudo apt update와 sudo apt install nano를 입력하여 나노 편집기를 설치한다.
- Git for Windows 설치:
- Git for Windows 웹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.
- 설치가 완료되면 Git Bash를 실행한다.
- Git Bash에서 기본적으로 나노 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다.
2. 사용
2-1. 파일 여닫기
- 파일 열기 (기존/신규): nano fileName
- 파일 저장: Ctrl + O (Write Out) 입력 후, 파일명 입력 후 Enter
- 파일 종료: Ctrl + X (Exit)
- 파일 삽입: Ctrl + R (Read File)
2-2. 검색 및 바꾸기
- 찾기: Ctrl + W (Where Is)
- 찾을 문자열 입력 후 Enter
- 찾기 및 바꾸기: Ctrl + \\ (Replace)
- 찾을 문자열과 대체할 문자열 차례로 입력
2-3. 복사 및 붙여넣기
- 텍스트 복사:
- Ctrl + ^를 눌러 텍스트 선택 후 Ctrl + K로 잘라내기
- 텍스트 붙여넣기:
- Ctrl + U로 붙여넣기
2-4. 라인 편집
- 줄 삭제: Ctrl + K
- 줄 붙여넣기: Ctrl + U
- 줄 번호 표시: Ctrl + C
- 도움말 보기: Ctrl + G
2-5. 이동 및 탐색
- 커서 이동:
- 왼쪽: Ctrl + B
- 오른쪽: Ctrl + F
- 위: Ctrl + P
- 아래: Ctrl + N
- 페이지 단위 이동:
- 이전 페이지: Ctrl + Y
- 다음 페이지: Ctrl + V
- 행의 시작/끝으로 이동:
- 행의 시작: Ctrl + A
- 행의 끝: Ctrl + E
2-6. 텍스트 편집
- 텍스트 삭제:
- 커서 위치의 문자 삭제: Ctrl + D
- 커서 이전의 문자 삭제: Backspace
- 텍스트 잘라내기:
- 현재 행 잘라내기: Ctrl + K
- 텍스트 붙여넣기:
- 잘라낸 텍스트 붙여넣기: Ctrl + U
2-7. 마크를 활용한 텍스트 편집
나노 편집기에서 "마크(Mark)"는 텍스트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는 기능이다. 마크 기능을 사용하면 텍스트의 블록을 선택하여 복사, 잘라내기, 삭제 등을 할 수 있다. 마크 기능은 일종의 텍스트 강조 표시로 생각할 수 있다.
- 마크 설정: Ctrl + ^
- 마크된 텍스트 삭제: Ctrl + K
- 마크된 텍스트 복사:
- Ctrl + K로 잘라낸 후 Ctrl + U로 붙여넣기
2-8. 도움말 및 기타 정보
- 도움말 호출: Ctrl + G
- 버전 정보 확인: nano --version
3. 옵션 파일 위치와 편집 방법
나노 편집기의 설정 파일은 nanorc 파일이다. 이 파일은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서 찾을 수 있으며, 보통 ~/.nanorc에 위치한다. 전역 설정 파일은 /etc/nanorc에 위치할 수 있다.
nanorc 파일의 각 옵션 설정 방식
- set을 사용하여 옵션을 활성화한다.
- unset을 사용하여 옵션을 비활성화한다.
각 옵션의 의미
- set autoindent: 자동 들여쓰기 활성화. 새 줄을 시작할 때 이전 줄의 들여쓰기를 복사한다.
- set backup: 파일 저장 시 백업 파일을 생성한다.
- set constantshow: 항상 커서 위치를 표시한다.
- set linenumbers: 행 번호를 표시한다.
- set mouse: 마우스 지원을 활성화한다.
- set nowrap: 줄 바꿈을 비활성화한다. 한 줄이 길어도 강제로 줄을 바꾸지 않는다.
- set smooth: 부드러운 스크롤링을 활성화한다.
- set tabsize 4: 탭의 크기를 4로 설정한다.
- set tabstospaces: 탭을 스페이스로 변환한다.
- set titlecolor blue, white: 제목 표시줄의 색상을 파란색 배경에 흰색 글자로 설정한다.
- set syntax "default": 기본 구문 강조를 사용한다.
반응형
'도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성형AI] ChatGPT 기본 활용 : 사전 설정, 요청 양식(ASCII) (3) | 2024.04.17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