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컴퓨터 과학/기술용어3

[IT기술] 웹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관리(1): 다양한 스토리지 솔루션 비교 목차 1. 스토리지 솔루션 종류 로컬 스토리지 (Local Storage) 웹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스토리지.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는 브라우저 세션이 종료되어도 삭제되지 않는다. 사용 예: 사용자 선호도 저장 세션 스토리지 (Session Storage) 웹 브라우저의 탭이 열려 있는 동안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스토리지이다. 탭을 닫으면 저장된 데이터도 함께 삭제된다. 사용 예: 단일 세션 데이터 저장, 임시 쇼핑 카트 IndexedDB 대량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낮은 수준의 API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. 복잡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, 비동기로 작동한다. 사용 예: 오프라인 데이터 저장, 대용.. 2024. 5. 10.
[IT용어] 리다이렉션: 웹개발에서의 의미와 HTTP 300번대 응답 상태 코드 목차1. 웹 개발에서의 리다이렉션웹 개발에서 리다이렉션은 사용자를 한 웹 페이지나 URL에서 다른 페이지나 URL로 자동으로 보내는 방법을 말한다. 이는 주로 사이트 구조가 변경되었을 때, 오래된 URL을 새 URL로 매핑하기 위해 사용되며,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고 SEO(검색 엔진 최적화)에 유리하게 작용한다.  1.1 리다이렉션의 중요성사용자 경험 보장: 사용자가 오래된 링크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근할 때 오류 페이지(예: 404 Not Found)가 아닌 새로운 페이지로 자동 유도되어 사용자 경험을 유지한다.검색 엔진 최적화 (SEO): 대표적인 리다이렉션 유형인 301은 "영구적인 리다이렉션"으로 간주되며, 검색 엔진은 이를 통해 오래된 페이지의 검색 엔진 순위와 권한을 새 페이지로 전달한다. 이는.. 2024. 4. 29.
[IT기술] 웹소켓의 기본적인 이해와 활용방법 목차 웹소켓 기술은 웹에서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다. 본 글에서는 이런 웹소켓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탐구하고, 기술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응용까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. 1. 기본 개념웹소켓: 웹소켓은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지속적인 연결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. 이 기술은 HTML5 표준의 일부로서,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 웹소켓 연결은 한 번의 핸드셰이크를 통해 HTTP 연결을 업그레이드한 후 지속되며, 이 연결을 통해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신속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. 웹소켓과 HTTP와의 차이점: HTTP 프로토콜은 요청-응답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며,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.. 2024. 4. 21.